Technical reports¶
유비쿼터스 컴퓨팅¶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제록스 팰러 앨토 연구센터의 마크 와이저가 제안한 개념이다. 마크 와이저는 이 개념을 그의 논문 “Some Computer Science Issues in Ubiquitous Computing”에서 “사용자가 현실 세계 어디에서나 컴퓨터를 사용한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 채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를 진보시키는 방법”이라고 정의하였다. 과거에, 이 개념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들을 언급할 때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라는 용어가, 미국에서는 “퍼베이시브 컴퓨팅”이라는 용어가 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유럽에서는 “앰비언트 인텔리전스”라는 용어가 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지금은 공통적으로 사물인터넷(IoT)이라는 용어가 주로 사용된다.
관련 자료¶
- [Wei93] Some Computer Science Issues in Ubiquitous Computing
- (미리 가본) 유비쿼터스 세상
- Ubiquitous Computing wiki page 유비쿼터스 컴퓨팅 위키 페이지
- IoT (Internet of Things) wiki page 사물인터넷 위키 페이지
전자공학실험2 경북대학교 강의 자료 사용법¶
유비노스 개발 환경 설치¶
- 다음을 참조해 개발 환경을 설치
윈도우즈: “유비노스 시작 안내서 (윈도우즈)”
전자공학실험2 경북대학교 강의 자료 라이브러리 설치¶
- 다음을 참조해 VSCode로 유비노스 소스트리 열기
윈도우즈: “VSCode로 유비노스 소스트리 열기”
VSCode에서 “liblist.json” 파일 파일 열기
- 연 파일의 기존 내용을 모두 지우고 아래 내용을 붙여넣기
[ { "name": "ece2knu_course_materials", "url": "https://github.com/ubinos-edu/ece2knu_course_materials.git", "branch_tag_commit": {"type": "branch", "name": "ubinos-main"}, "upstreams": [ ], "descrip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electronic circuit experiment 2 course materials" } ]
VSCode에서 “CMake” View 선택
“CMake: Project Outline” 에서 xlibmgr 실행
“Ubinos library manager” 창이 뜨면 “Hide ubinos default library list” 체크
- 다음 라이브러리들을 체크 하고, “Install” 버튼 클릭
ece2knu_course_materials
“Install library commands” 창이 뜨면 “Run” 버튼 클릭
“Success” 메시지가 뜨면 “OK” 버튼 클릭
“Install library commands” 창의 “Close” 버튼 클릭, “Ubinos library manager” 창의 “Close” 버튼 클릭을 차례로 클릭
기존 config 를 복사해 새 config 생성¶
- 다음을 참조해 VSCode로 유비노스 소스트리 열기
윈도우즈: “VSCode로 유비노스 소스트리 열기”
VSCode에서 “CMake” View 선택
“CMake: Project Outline” 에서 xconfigsel 실행
“Ubinos config selecgtor” 창이 뜨면 복사할 config 선택 후 Copy 버튼 클릭
오른 쪽 아래 (desination name base) field 에 새 config 이름 입력
Ok 버튼 클릭
“Copy succeeded” 알림창이 뜨면 확인 버튼 클릭
VSCode 활용 팁¶
단축키¶
- “Run build task” 실행
윈도우: “Ctrl + Shift + B”
리눅스: “Ctrl + Shift + B”
- “Extensions” View 선택
윈도우: “Ctrl + Shift + X”
리눅스: “Ctrl + Shift + X”
- “Run and Debug” View 선택
윈도우: “Ctrl + Shift + D”
리눅스: “Ctrl + Shift + D”
- “Source control” View 선택
윈도우: “Ctrl + Shift + G”, “G”
리눅스: “Ctrl + Shift + G”
- “Explorer” View 선택
윈도우: “Ctrl + Shift + E”
리눅스: “Ctrl + Shift + E”